※ 이 글에서 다룬 기반기술, 프론트엔드, 백엔드, 데브옵스 등 풀스택 개발 지식은 모두 한화시스템 Beyond SW Camp 12기에서 배운 내용을 복습한 것입니다.
이 글은 아래에 두 과정이 끝난 후에 보는 것을 추천한다.
https://taeh00n.tistory.com/entry/%EB%A6%AC%EB%88%85%EC%8A%A4-mariaDB-%EC%84%A4%EC%B9%98
[리눅스] mariaDB 실습 - mariaDB 설치
※ 이 글에서 다룬 기반기술, 프론트엔드, 백엔드, 데브옵스 등 풀스택 개발 지식은 모두 한화시스템 Beyond SW Camp 12기에서 배운 내용을 복습한 것입니다. mariaDB● mariaDB :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
taeh00n.tistory.com
[리눅스] mariaDB실습 - WAS(Web Application Server) 설치
※ 이 글에서 다룬 기반기술, 프론트엔드, 백엔드, 데브옵스 등 풀스택 개발 지식은 모두 한화시스템 Beyond SW Camp 12기에서 배운 내용을 복습한 것입니다. WAS(Web Application Server)● WAS(Web Application S
taeh00n.tistory.com
위의 과정 후 설치된 DB 서버로 접속해서 실습을 해보겠다.
우선 mariaDB 서버에서 데이터를 추가해보겠다
mariaDB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실행
mariadb
데이터 추가
USE 3tier;
INSERT INTO student VALUES (1, 's01', 10), (2, 's02', 20);
나는 3tier 이름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했으므로 3tier 데이터베이스를 쓰는 것이고 데이터를 Insert하면 Table로 데이터가 저장된다.
확인
스프링 부트로 만든 웹 애플리케이션은 톰캣이라는 웹 서버를 내장하고 있어서 따로 톰캣을 설치할 필요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웹 서버가 켜진다. 8080 포트는 그 웹 서버가 기본으로 사용하는 번호라 WAS 서버 IP와 8080 포트를 웹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백엔드에서 설정한 주소로 연결하면 위에서 추가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.
'한화시스템 Beyond SW Camp > 기반기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3계층 구조 (3 tier architecture) (0) | 2024.11.28 |
---|---|
[리눅스] mariaDB - DB실습 (Mysql Workbench로 원격 접속) (2) | 2024.11.27 |
[리눅스] mariaDB - WAS(Web Application Server) 설치 (0) | 2024.11.26 |
[리눅스] mariaDB - mariaDB 설치 (1) | 2024.11.26 |
[Github] 프로젝트 관리 (Issues - (Labels, Milestones), Projects -(Kanban)) (0) | 2024.11.26 |